물멍IT

[GitHub] - 깃허브와 아톰 프로젝트 연동 본문

Git

[GitHub] - 깃허브와 아톰 프로젝트 연동

derlung 2020. 3. 16. 18:34

아톰에서 생성한 프로젝트를

깃허브와 연동하여 버전관리를 편하게 할수 있도록 연동하자

(먼저, 깃허브 계정이 필요하므로 생성하자)






1. GitHub에 원격 저장소 생성


깃허브 로그인하면 나오는 메인 화면이다.

새로운 원격 저장소 생성을 위해 'New'버튼을 클릭한다.




생성할 원격저장소의 이름을 입력하고 'Create respository' 버튼을 클릭한다.




원격저장소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고 옆의 '문서 아이콘'을 클릭하여 

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한다.

이것으로 깃허브에서의 사전 준비는 끝이다.




2. atom 프로젝트 생성(로컬 저장소 생성)

그전에 미리 패키지 하나를 설치해야한다.

[File - Setting - Install - git-run 검색 후 설치]


아톰을 실행하고

[Packages - GitHub - Toglle GitHub Tab] 를 클릭한다.




그러면 옆에 위와같은 화면이 보여진다. 'Create repository'를 클릭




연동할 프로젝트의 경로를 입력하면 된다.

(없다면 지정한 경로에 새로 생성되고

 이미 존재하는 프로젝트의 경로를 입력하면 그 프로젝트가 연동된다.)

이 방법 외에도 cmd창에서 해당 프로젝트파일로 이동 후 (Cd 사용) 

git init 해주면 .git 파일이 생기면서 초기화 준비가 완료된다.




3. Cmd이용하여 연동


cmd창을 연다. cmd창은 [ 시작 키 - 검색 - 'cmd' 입력 ]하면 실행된다.


cmd창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cd 프로젝트 위치  

git config user.name 깃허브이름

git config user.email 깃허브계정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 주소

- 먼저, 연동할 프로젝트의 위치로 이동한다.

- 자신의 깃허브 이름과 계정을 등록한다.

- 처음에 생성했던 원격저장소의 주소를 입력한다. (문서아이콘)

위와같이 명령어를 입력했을때 사진처럼 아무런 반응이 없으면 성공이다.(무소식이 희소식)




마지막으로 설정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명렁어를 입력해주자

git config --list

입력한 이름과 계정이 깃허브의 이름과 계정과 일치하는지 확인하자





4. 테스트

이제 깃허브와의 연동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테스트해보자.


[ 프로젝트 우클릭 - new File ]을 클릭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자

나는 파이썬 파일을 하나 생성했다.




아무거나 내용을 채우고 저장하면, 오른쪽과 같이 변경된 파일이 올라갈 것이다.

(오른쪽 창이 나오지 않는다면, [Packages - GitHub - Toglle GitHub Tab] 클릭)

'Stage All' 을 클릭하여 파일을 스테이징하자




스테이징한 파일을과 커밋메시지를 입력하고 'Create detached commit'을 클릭하면 커밋은 완료다.




마지막 단계이다. 아래의 구름모양 'Publish'를 클릭하면 

깃허브의 원격저장소에 저장이 완료된다.




생성해둔 깃허브 원격저장소에 가면 파일이 저장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으로 깃허브와 아톰을 연동하는 법을 마치겠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 깃허브와 이클립스 프로젝트 연동  (0) 2020.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