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문자열비교
- 톰캐설치
- 데이터베이스 오류
- 백준알고리즘 창문닫기
- Anaconda
- JSP파일 생성
- 환경변수 설정
- Live Server
- 백준알고리즘 13909
- 이클립스 연동
- comapreTo
- 이클립스
- 깃허브
- 이클립스 설치
- vmware work station
- 에디터 편리하게 사용
- visual studio code 확장팩
- slice
- 파이썬
- 자바
- korean language pack for visual studio code
- 웹프로젝트 생성
- JDK설치
- splice
- face_recognition
- Dymanic Web Project
- 오라클 아마존 연동 오류
- 백준알고리즘
- github
- the network adapter could not establish the connection
- Today
- Total
목록Git (2)
물멍IT
아톰에서 생성한 프로젝트를깃허브와 연동하여 버전관리를 편하게 할수 있도록 연동하자(먼저, 깃허브 계정이 필요하므로 생성하자) GitHub(깃허브) 계정 만들기 1. GitHub에 원격 저장소 생성 깃허브 로그인하면 나오는 메인 화면이다.새로운 원격 저장소 생성을 위해 'New'버튼을 클릭한다. 생성할 원격저장소의 이름을 입력하고 'Create respository' 버튼을 클릭한다. 원격저장소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고 옆의 '문서 아이콘'을 클릭하여 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한다.이것으로 깃허브에서의 사전 준비는 끝이다. 2. atom 프로젝트 생성(로컬 저장소 생성)그전에 미리 패키지 하나를 설치해야한다. [File - Setting - Install - git-run 검색 후 설치] 아톰을 실행하고[Pack..
이클립스에서 생성한 프로젝트를깃허브에 연동하면 좀 더 쉽게 프로젝트 관리할 수 있다.(먼저, 깃허브 개인계정이 필요하므로 생성하자) GitHub(깃허브) 1. GitHub에 원격 저장소 생성 새로운 원격 저장소생성을 위해 'New' 버튼을 클릭한다. 생성할 원격저장소의 이름을 입력하고 'Create repository'버튼을 클릭한다. 원격저장소가 생성된것을 확인하고 밑에 문서아이콘을 클릭하면 원격저장소의주소 복사가 된다.이것으로 깃허브에서의 연동 사전준비는 끝이다. 2. 이클립스 프로젝트 연동 Project Explorer 빈 배경에 우클릭 후(이미 생성된 프로젝트와 합칠경우) 사진과 같이 [ import ]를 클릭하자 git을 검색하고, [Projects from Git] 클릭 후 Next 클릭 UR..